2015년 8월 18일 화요일

사용중인 치약 성분 조사

sorbitol 설탕과 유사한맛
hydrated silica 조개류에 포함됨
aqua 정제수로서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됨
peg-8 폴리디메칠실록산이다.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된다.
sodum lauryl sulfate 로릴 황산 나트륨,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종(조금 그렇다)
celluose gum 셀룰로오스검 (Cellulose Gum, 소듐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점로를 높여줌
aroma 아로마
calcium lactate 수렴제, 각질제거제
titanium dioxide 자외선 차단제
sodium bicarbonate 피부보호, 위에서 탄산을 만듬
hydroxyapatite 암석에서 얻고 인공뼈, 인공치아
PVP 고체표면에 피막형성 화장품에서 서로 섞이지 않는 성분 안정화
sodium methylparaben 살균보존제
sodium saccharin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 (이성분 별로 안좋은것 같음)
omega 3 fish oils
papain 효소 성분으로 죽은 세포는 분해, 살아있는 세포는 활성화
d-limonene 레몬향 내는 성분
Fluoride free

어떤 치약을 보면 불소 농도가 1500ppm 이상도 있는데 분명 안좋기때문에 1000ppm 농도가 정해져 있는것 아닐까? 추측해 본다.

나의 경우 지금 불소 농도가 높은 치약을 쓰면 간지럽고 트러블이 생기고 안쓸때와 확연이 차이가 난다.

앞으로 아무리 안전한 치약이라 해도 양치질후 잘 행구어 내야 할것 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