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환경
내장 그래픽 : Intel HD Graphics 4000
외장 그래픽 : NVIDIA 640M
그래픽 출력 단자 : HDMI, Dsub
문제점
현재 Dsub 단자에 24인치 모니터가 연결 되어있고 또 내장 그래픽으로 연결되어 화면이 떨림
해결 방법
- 노트북 전용 드라이버 설치후 자동 업데이트 방지
- PhysX Configuration 외장 그래픽 선택
- HDMI 연결후 연결된 모니터 메인 디스플레이 설정
- 모니터 주파수 설정(windows 10의 경우 64Hz설정시 떨림이 사라짐)
- 냉장고나 전라레인지등 코일형 전자제품등과 다른 전원선에 연결
설명
1.제어판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하드웨어 -> 장치 설치 설정 ->
아니요, 작업을 직접 선택합니다.
Windows 업데이트에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습니다.(N).
아니요, 작업을 직접 선택합니다.
Windows 업데이트에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습니다.(N).
노트북의 경우 드라이버의 버전이 업데이트 되면 성능에 비해 버거워 지는 상황이 발생 할수 있는데 원인은 배터리 전력 문제와 또 메인 디스플레이가 15.4인치같이 작은 화면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일 것이다.
3D Mark 점수를 확인해 본 결과 GT 640M은 1023점이고 Intel HD4000은 456점을 기록하고 있다. 저의 데스크탑 컴퓨터의 경우 5000점대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암묵적으로 사용하던 때와 확연히 구분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http://www.videocardbenchmark.net/
2. PhysX Configuration 외장 그래픽 선택
참고 : NVIDIA PhysX 기술이란?
NVIDIA PhysX는 주요 PC 게임에서 마치 현실에서와 같은 물리적 현상을 재현해주는 강력한 물리학 엔진입니다. 이것은 대규모의 병렬 프로세서를 이용한 하드웨어 가속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PhysX 기술을 탑재한 GeForce GPU는 물리 현상 처리 능력에서 폭발적인 성능을 제공하여 게임의 현실성을 한 차원 높여줍니다. (출처 nvidia)
여기에서는 그래픽 작업이나 게임모드시 더 나은 퍼포먼스를 위해서 설정함.
3. HDMI 연결후 연결된 모니터 메인 디스플레이 설정
제어판 -> 디스플레이 -> 해상도 조절 -> 메인 디스플레이 설정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