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 29일 화요일

vi 전체선택, 복사, 붙여넣기, 삭제, 라인럼버 보이기, 찾기 - [ Centos 7 minimal]

vi 에디터 사용법

1. 전체 선택후 복사
1.1 어느 라인에서나 gg를 누르면 첫줄로 이동한다.
gg 


1.2 먼저 첫줄이나 마지막 줄로 이동해야 전체를 선택할 수 있다.
첫줄에서 전체 선택하는 방법 : (shift + v) + g

1.3 복사 : y

2. 붙여 넣기
p

3. 전체 삭제
d

4. 라인럼버 보이기
:set number

5. 찾기 
/

2015년 9월 23일 수요일

2015년 9월 22일 화요일

Packet analyzer

https://en.wikipedia.org/wiki/Packet_analyzer

구글 블로그 카테고리 만들기

구글 블로그의 카테고리 만들기의 구조는 먼저 글쓸때 태그를 붙여 놓는다.  그리고 레이아웃에 가젯을 추가하여 태그를 링크하여 만들 수 있다. 이것은 글들을 상하위 구조로 카테고리 하는것보다 매우 유연하며 여러가지 태그를 붙일수도 있고 분류시 더 효과적이다.

1. 먼저 글쓰기 할때 태그를 추가 할것! (태그 클릭) 
원하는 태그가 없으면 새로운 라벨을 입력한다. ex)로멘스


2. 가젯을 추가하기 위해 내블로그 열고 그림에 1~3번 실행 
     ①. 레이아웃 -> 
     ②. 가젯추가 ->
     ③. 태그 클릭 (스크롤바를 내릴것)


3. 라벨 가젯에 태그 링크후 저장(빨간 박스 부분 수정 할것)
태그들을 대표할 제목 입력후 -> 선택한 라벨 클릭 -> 수정 -> 아래 표시할 라벨선택후 -> 저장

4. 레이아웃에 가젯이 입력 되었는지 확인하기
블로그 방문 -> 금방 만든 가젯이 추가됨 학인
툴박스를 클릭하면 언제든지 라벨과 태그 가젯의 제목을 변경 할 수 있다.


Putty 다운로드와 설정 그리고 Centos7 서버와 접속

1. putty다운로드와 설치
Centos7이 설치되면 22번 포트와 기본적으로 root유저로 접속이 가능하다. 아래 putty라는 터미널 어뮬레이터를 통해 접속을 해 보겠다.

putty  다운로드 :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download.html

windows 환경이라면 putty.exe 파일을 받아 실행한다 


2.1 폰트 설정
Windows - Appearance -> Font settings - Change -> 웝하는 폰트로 변경


2.2 폰트 설정 저장과 실행
Session -> Host Name (or IP address)에 아이피 입력 포트는 기본 22번-> Saved Sessions에 이름을 넣거나 원래 이름을 클릭후 -> Save


실행을 위해서 Open 클릭



2.3 터미널 접속 

다음 화면이 뜨면 ID와 PW를 입력후 접속

2015년 9월 21일 월요일

self-explanatory

self-explanatory (자체 설명)

1. 설명없이 이해 할수 있는것 ; understandable without explanation; self-evident
2. 자체 설명이 되니까 설명이 필요없다 ; needing no explanation

2015년 9월 16일 수요일

VirtualBox Static IP - 두대의 서버 [Centos7.1503 Minimal]

운영 환경
메인 운영체제 : Windows
가상 서버 환경: VirtualBox
서버 1 : Centos7.1503 minimal (Web Server 80 Port)
서버 2 : Centos7.1503 minimal (FTP Server 21 Port)

개요
1. VirtualBox IP 확인 또는 변경
2. VirtualBox 네트워크 환경 설정
3. 각각의 Centos7 minimal 네트워크 설정

설명
1. VirtualBox IP 확인 또는 변경
메인 운영체제 에서 :
제어판 -> 네트워크 -> VirtualBox Host-Only Network -> Properties ->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 클릭


여기에서 IP를 확인하고 원하는 IP로 변경한다. 그리고 이 IP는 VirtualBox에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네트워크를 설정할때 GateWay가 된다. 그러므로 잘 기억해 두세요!


2. VirtualBox 네트워크 환경 설정
먼전 각각의 가상머신들을 전원 꺼짐으로 세팅(붉은 점)
설정 클릭 -> 네트워크 -> 다음에 연결됨 : 호스트 전용 어댑터 설정 -> 확인

어댑터2 클릭 -> 다음에 연결됨 : NAT  설정 -> 웹서버인 경우 80포트 포워딩 아래와 같이 설정 -> 확인



3. 각각의 Centos7 minimal 네트워크 설정
Centos ip 설정은 아래 url 클릭
http://olleyo.blogspot.kr/2015/10/network-centos71503-minimal.html

서버 1
  프로토콜
 IP 
 Addresses
 192.168.56.101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56.1
 DNS Server
 192.168.56.1

서버 2
  프로토콜
 IP 
 Addresses
 192.168.56.102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56.1
 DNS Server
 192.168.56.1

 Dns는 GateWay의 값을 넣어도 되고 각통신사의 ip를 넣으면 됨


참고 : VirtualBox IP 할당 대역폭을 알고 싶다면
1. 파일 -> 환경설정
2. 네트워크 -> 호스트 전용 네트워크 탭 -> 드라이버 아이콘 -> DHCP서버 탭 ->
    최저와 최고 주소의 범위가 할당 IP 대역임






2015년 9월 10일 목요일

소규모 서버의 데이터 관리 방법 - 백업과 복원

1. 물리적 백업의 개념(MS 2008 server)

https://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Cc527493(v=WS.10).aspx

요점
  •    모니터링(오류, 변동사항 체크)
  •    외부 저장소 사용(2.5배 용량)
2. IBM의 효율적 백업의 방안


3. 소규모 서버의 백업

  • 하드디스크 추가
        원본의 2.5배의 저장 용량 추가하고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백업하게 한다.
        이 방법을 추천하며 주기적으로 독립된 저장장치에 2차 백업을 한다면 안전하고 효율적임(이때는 putty와 같은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서버를 관리 한다.)
  •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별도의 독립형 FTP서버를 구입하여 백업 하는 경우
         10~50만원 정도의 비용 소요
         
  • USB저장 장치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필요할때 마다 주기적인 백업을 해야함. 
        귀찮지만 서버와 독립적이며 네트워크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안정성이 높다.
        Mysql DB 백업등의 작은 용량/ 주기적 백업등

4. 

2015년 9월 8일 화요일

must ≥ have to > should 차이점

must ≥ have to > should


 의미
 차이점
 must
반드시 ~해야 한다
개인적 의무, 규칙
 have to
그래도 ~해야 한다
다른 대상을 돕기 위한 의무
 should
~해야 한다 (하는게 적당하다. 좋은 생각이다)
적당함, 희망, 견해를 요청, ...


1. must

must turn right : 오른 쪽으로 돌아야 한다. (교통 표지판)

Dogs must be carried on escalator : 에스컬레이터에서 개들은 들고 있어야 한다. 이유는 발바닥에 털이 많아 발이 껴 부상 위험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해야하죠!
http://www.learnersdictionary.com/definition/must

2. have to

You have to study.


3. should (9가지 사용법이 있으니 아래 사이트에 문장을 공부 해보세요!)

http://www.learnersdictionary.com/definition/should

4. 마지막으로 아래 사이트 가서 쉽게 이해 되면 마스터!!
http://learnenglishteens.britishcouncil.org/grammar-vocabulary/grammar-videos/have-must-and-should-obligation-and-advice

2015년 9월 4일 금요일

방화벽 사용법 [Centos7.1503 Minimal]

방화벽 이란 무엇 인가?
배가 정박 하는 부두를 보면, 어떤 배가 입출입 하는지 또 어떤 컨테이너가 들어와 어디로 보내 지는지의 관리를 할수 있도록 하는데 방화벽도 비슷한 기능을 담당한다. 내부나 외부의 인터넷 접근 방식을 port를 통해 통제하는 역활을 한다.

방화벽은 port라는 접속 루트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2의 16승 즉 65536개의 포트가 있다. 그리고 한개의 포트는 보통 tcp와 udp로 나누어 진다. 즉 2차선 노선과 비슷하다. 물론 4개나 6개로 나누어진 포트들도 있으므로 아래 주소로 들어 가서 확인해 보길 바란다. 대개 tcp전송의 특징은 안정성이고 udp는 단순하고 빠른 특징이 있다.
port : http://www.iana.org/assignments/port-numbers

리눅스 포트의 구성

port
포트 이름 
설명
사용
 pirivleged 
(특권)
 0~1023
 well known port
root권한으로 바인드 됨
 데몬접속, telnet, ftp
 unpirivleged
(비특권)
 1024 ~ 
 49151
 registered port
일반 유저 권한으로 바인드 됨

 49152 ~ 
 65535
 dynamic/ private port
client와 서버간 통신시 사용

우리가 알아야 할것은 방화벽을 어떻게 열고 닫고 영구적인 적용과 설정 확인 등을 하는 방법만 안다면 나머지는 방화벽이 알아서 할것이므로 이것에 대해 알아 보겠다.

방화벽의 어떤 존이 활성화 되어있는지 확인( 보통 public)
   firewall-cmd --get-active-zones



Public Zone의 모든 정보 확인
   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방화벽 열기(web server port ; add-service방식 추천)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service=http
   or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tcp



방화벽 닫기(web server port)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remove-service=http
   or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remove-port=80/tcp


방화벽 public zone의 모든 리스트 보기
   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방화벽 열린 포트 리스트 확인
   firewall-cmd --list-ports


방화벽 영구적인 적용(방화벽 변경후 반드시 할것)
   firewall-cmd --reload


방화벽 설정 확인
   vi /etc/firewalld/zones/public.xml